Kubernetes에서 Pod 재시작 전략
·
OS/Kubernetes
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Pod 재시작 전략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Restart PolicyAlways : Deployment, ReplicaSet에서 기본값, 실패 시 항상 재시작OnFailure : Job에서 사용, 실패한 경우만 재시작Never : 실패해도 재시작하지 않음Liveness Probe & Readiness ProbelivenessProbe는 애플리케이션이 정상 동작 중인지 확인 → 실패 시 자동 재시작readinessProbe는 서비스 트래픽을 받을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 → 준비 안 된 Pod는 트래픽 제외CrashLoopBackOff 문제 해결환경변수/ConfigMap/Secret 설정 오류로 자주 발생 → kubectl describe pod로 원인 파..
Docker 이미지 최적화 방법
·
OS/Docker
Docker를 활용하다 보면 이미지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져서 빌드 속도와 배포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미지 최적화를 통해 성능과 관리 효율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.불필요한 레이어 줄이기RUN apt-get update && apt-get install -y ... && rm -rf /var/lib/apt/lists/* 같이 하나의 RUN 명령어에 합치면 레이어가 줄어듭니다.멀티 스테이지 빌드 활용빌드 환경과 실행 환경을 분리하면 최종 이미지에 불필요한 빌드 도구가 포함되지 않습니다.최소 베이스 이미지 사용alpine 이미지를 활용하면 기본 Debian/Ubuntu 기반보다 훨씬 가볍습니다..dockerignore 설정불필요한 파일이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도록 .dockerignore ..
효율적인 CI/CD 파이프라인 구축 가이드
·
OS/DevOps
본문:DevOps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CI/CD입니다. CI/CD(Continuous Integration/Continuous Delivery)는 소프트웨어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인 통합과 배포를 가능하게 합니다.CI/CD의 주요 구성 요소CI (Continuous Integration): 코드 통합 및 자동 빌드와 테스트 과정.CD (Continuous Delivery/Deployment): 통합된 코드를 실제 환경에 배포하는 과정.효율적인 파이프라인 구축 방법소스 코드 관리(Git)모든 코드 변경 사항을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관리하고 Pull Request 및 코드 리뷰를 통해 안정성을 유지합니다.자동화된 빌드 환경(Jenkins, GitLab CI)Jenk..
실무에서 알아두면 유용한 Docker Compose 활용법
·
OS/Docker
본문:Docker는 컨테이너화 기술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. 특히 실무에서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런 상황에서 Docker Compose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.Docker Compose는 여러 컨테이너를 한 번에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로, YAML 파일로 컨테이너 간 관계와 설정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개발 및 배포 과정을 단순화하고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.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Docker Compose 명령어docker-compose up: 컨테이너 실행docker-compose down: 컨테이너 정지 및 삭제docker-compose restart: 컨테이너 재시작docker-compose logs: 컨테이너 로..
리눅스 시스템 부팅 과정 한눈에 정리
·
OS/Linux
📄 본문 내용:✅ 전체 부팅 단계 요약BIOS/UEFI → 하드웨어 초기화Boot Loader (GRUB) → 커널 선택 및 실행Linux Kernel → 하드웨어 제어권 획득Init System → 서비스 시작Login Shell → 사용자 로그인✅ systemd 기반 부팅 확인systemd-analyze time부팅에 걸린 전체 시간 확인systemd-analyze blame어떤 서비스가 오래 걸렸는지 분석 가능✅ 문제 해결 시 활용journalctl -xb부팅 중 발생한 로그 확인dmesg커널 초기 메시지 확인✅ 실무 팁GRUB 수정은 /etc/default/grub → update-grub오래 걸리는 서비스는 systemctl disable 또는 mask로 제어부팅 느릴 땐 SSD 상태, 마운트..
도커에서 볼륨(Volume) 완전 이해: 데이터 유지의 핵심
·
OS/Docker
📄 본문 내용:✅ 볼륨이란?도커 컨테이너는 삭제 시 데이터도 같이 사라집니다.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Docker Volume입니다.컨테이너 외부에 데이터를 보관하여 유지 및 공유가 가능해집니다.✅ 볼륨 생성 및 사용# 볼륨 생성docker volume create my-volume# 볼륨 확인docker volume ls# 컨테이너에서 볼륨 마운트docker run -d -v my-volume:/app/data busybox✅ 볼륨 vs 바인드 마운트항목볼륨바인드 마운트경로도커가 관리사용자가 지정한 경로백업/복원쉬움직접 수행권한 문제거의 없음호스트 OS에 따라 발생 가능 ✅ 볼륨 삭제# 컨테이너 중지 후docker volume rm my-volume✅ 실무 팁DB 컨테이너 실행 시 데이터 ..
kubectl 명령어 모음: 실무에서 꼭 쓰는 10가지
·
OS/Kubernetes
📄 본문 내용:✅ 1. 전체 Pod 보기kubectl get pods --all-namespaces✅ 2. 디버깅: 로그 확인kubectl logs ✅ 3. Pod 안으로 접속kubectl exec -it -- /bin/sh✅ 4. 현재 Context 확인kubectl config current-context ✅ 5. YAML 출력kubectl get pod -o yaml ✅ 6. 리소스 삭제kubectl delete pod ✅ 7. Deployment 수정kubectl edit deployment ✅ 8. 네임스페이스 변경kubectl config set-context --current --namespace=✅ 9. 리소스 설명kubectl describe pod ✅ 10. 리소스 상태 실시간..
Docker로 Nginx 웹서버 빠르게 띄우는 법
·
OS/Docker
📄 본문 내용:✅ 목적테스트용 웹서버가 필요할 때, Nginx 이미지를 활용해 1분 만에 웹서버를 띄울 수 있습니다.✅ 실행 명령어docker run -d -p 8080:80 --name webserver nginx-d: 백그라운드 실행-p 8080:80: 호스트 8080포트를 컨테이너의 80포트와 매핑--name webserver: 컨테이너 이름 지정✅ 접근 방법브라우저에서 http://localhost:8080 접속 → Nginx 기본 화면 확인 가능✅ 컨테이너 중지 및 삭제docker stop webserverdocker rm webserver✅ 실무 팁HTML 정적 페이지 테스트 용도로 활용-v 옵션으로 로컬 HTML을 마운트하면 커스텀 페이지 테스트 가능docker run -d -p 8080:..
실무에서 자주 쓰는 Crontab 스케줄 예시 정리
·
OS/DevOps
📄 본문 내용:✅ Crontab 기본 형식 분 시 일 월 요일 명령어예:0 9 * * 1-5 /home/user/backup.sh# 매주 월~금 오전 9시에 백업 실행✅ 자주 쓰는 예시설명설정매일 자정에 실행0 0 * * *매주 일요일 자정0 0 * * 030분 간격*/30 * * * *매월 1일 3시0 3 1 * *재부팅 후 1회@reboot /path/to/script.sh ✅ 실무 팁crontab -e로 설정crontab -l로 확인로그 확인: /var/log/cron 또는 /var/log/syslog스크립트에 절대 경로 사용 필수
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 부족 원인 빠르게 찾는 방법
·
OS/Linux
📄 본문 내용:✅ 문제 상황리눅스 서버에서 갑자기 디스크가 가득 찼을 때, 어떤 디렉토리가 원인인지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✅ 핵심 명령어# 전체 디스크 사용량 확인df -h# 특정 디렉토리 내 사용량 확인 (정렬 포함)du -sh /* | sort -hr | head -n 10# 숨겨진 파일 포함 확인du -sh .[!.]* * | sort -hr | head -n 10✅ 실무 팁/var/log 디렉토리 로그 누적이 가장 흔한 원인journalctl --disk-usage로 systemd 로그 확인 가능필요시 오래된 로그 압축 또는 삭제 (logrotate 설정도 검토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