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:
DevOps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CI/CD입니다. CI/CD(Continuous Integration/Continuous Delivery)는 소프트웨어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인 통합과 배포를 가능하게 합니다.
CI/CD의 주요 구성 요소
- CI (Continuous Integration): 코드 통합 및 자동 빌드와 테스트 과정.
- CD (Continuous Delivery/Deployment): 통합된 코드를 실제 환경에 배포하는 과정.
효율적인 파이프라인 구축 방법
- 소스 코드 관리(Git)
모든 코드 변경 사항을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관리하고 Pull Request 및 코드 리뷰를 통해 안정성을 유지합니다. - 자동화된 빌드 환경(Jenkins, GitLab CI)
Jenkins나 GitLab CI를 이용해 빌드 및 테스트 과정을 자동화합니다. 스크립트를 통해 모든 과정을 표준화하고 반복 가능하게 합니다. - 컨테이너화(Docker)
Docker 이미지를 사용하면 개발환경과 운영환경 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, 배포 과정에서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- 자동 배포(Kubernetes, Ansible)
Kubernetes 또는 Ansible을 이용해 컨테이너 기반의 자동 배포 및 인프라 관리를 수행합니다.
실무에서 주의할 점
- 작은 변경 사항이라도 반드시 CI/CD를 통해 배포하여 안정성을 유지합니다.
- 배포 실패 시 롤백 계획을 명확히 세우고 자동화합니다.
-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 발생 시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춥니다.
CI/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면 배포 속도와 품질 향상뿐만 아니라 협업 환경도 개선됩니다. DevOps 팀이라면 반드시 참고해보세요.
'OS > 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무에서 자주 쓰는 Crontab 스케줄 예시 정리 (0) | 2025.07.16 |
---|---|
DevOps가 뭐야? 개발자와 운영자가 하나가 된다고? (0) | 2025.07.06 |
Docker와 Kubernetes, 도대체 뭐가 다를까? (0) | 2025.07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