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개요
Minikube로 구성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kubectl 명령어만으로 웹 서버(Nginx)를 배포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.
✅ 실습 목표
- kubectl create deployment 명령어로 Nginx 배포
- Pod 상태 확인
- 간단한 웹 서비스 생성
🧩 실습 순서
1️⃣ Nginx 배포 (Deployment 생성)
bash
복사편집
kubectl create deployment nginx --image=nginx
- nginx라는 이름의 Deployment 생성
- Nginx 이미지를 기반으로 Pod 1개 생성됨
2️⃣ 배포 확인
bash
복사편집
kubectl get pods
예시 출력:
sql
복사편집
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nginx-6db489d4b7-d4px7 1/1 Running 0 15s
STATUS: Running, READY: 1/1이면 정상 실행 중입니다.
3️⃣ 서비스 생성 (NodePort 방식)
bash
복사편집
kubectl expose deployment nginx --type=NodePort --port=80
-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NodePort 방식의 서비스 생성
4️⃣ 서비스 확인
bash
복사편집
kubectl get svc
예시:
pgsql
복사편집
NAME TYPE CLUSTER-IP EXTERNAL-IP PORT(S) AGE nginx NodePort 10.96.87.106 <none> 80:30080/TCP 2m
PORT(S)의 NodePort (30080 등)를 통해 접속 가능
5️⃣ 실제 접속 확인
bash
복사편집
minikube service nginx
- 자동으로 브라우저가 열리며 Nginx 기본 페이지 출력
- CLI에서는 http://127.0.0.1:30080 형식으로 주소 출력됨
📎 참고: 서비스 삭제
bash
복사편집
kubectl delete svc nginx kubectl delete deployment nginx
📝 정리
항목명령어/내용
Nginx 배포 | kubectl create deployment nginx --image=nginx |
서비스 생성 | kubectl expose deployment nginx --type=NodePort --port=80 |
브라우저 접속 | minikube service nginx |
삭제 | kubectl delete svc/deployment nginx |
'OS > 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버네티스란? – 개념부터 핵심 구성요소까지 쉽게 이해 (0) | 2025.07.04 |
---|---|
🟢 [Kubernetes] YAML로 Nginx 배포 및 파드 확장하기 (0) | 2025.06.30 |
🟢 [Kubernetes] Minikube 설치 및 클러스터 시작하기 (0) | 2025.06.30 |
📦 Kubernetes & Minikube 개념 정리 (0) | 2025.06.28 |
[Kubernetes] 명령어 모음 (0) | 2021.04.02 |